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대전시 문화관광(1) :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다

문화관광 도시 대전시,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다. 과학과 연구의 도시 대전시는 문화관광의 도시이기도 하다. 도심은 물론 도시 외곽 곳곳에 산재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문화 명소는 바로 대전 관광명소이다.

 

대전시는 문화관광의 명소

동춘당

보물 제209호 동춘당은 조선 효종 때 병조판서를 지낸 동춘당 송준길(1606~1672)이 1643년에 중건한 것으로 선비, 문인들과 강학하던 곳이다.

 

위치 : 대전광역시 동춘당로 80

전화 : 042-608-6574

 

우암사적공원

계족산 기슭의 가양동에 자리잡고 있는 우암사적공원은 조선시대 대학자인 우암 송시열(1607~1689)이 학문을 닦던 곳이다. 이곳에는 남간정사, 기국정, 송지대전판 등 중요한 문화재가 있다.

 

위치 : 대전광역시 동구 충정로 53

전화 : 042-673-9276

 

대전 소대헌, 호연재 고택

동춘당 송준길의 둘째 손자 송병하가 분가하면서 살기 시작하여 현재 11대손까지 살아오고 있는 집이다.

 

위치 : 대전광역시 대덕구 동춘당로 70

전화 : 042-608-6574

 

송애당

송애당은 조선 인조때 김경여(1597~1963)가 지은 별당 건물로 앞면 3칸 옆면 2칸 규모의 시 유형문화재이다.

 

위치 : 대전광역시 대덕구 계족산로 17번길 60

전화 : 042-608-6574

 

쌍청당

조선 전기의 학자인 쌍청당 송유(1389~1446)가 지은 별당이다. 조선 전기의 건축 양식을 살펴볼 수 있는 건물로 단청이 되어있어 특이하다.

 

위치 :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덕구 썽청당로 17

전화 : 042-608-6573

 

유회당

조선 후기 유회당 권이진(1668~1734)이 건물 뒤 산에 있는 부모의 묘에 제사를 지내면서 독서와 교육을 위해 지은 것이다.

 

위치 : 대전광역시 중구 운남로85번길 32-20

전화 : 042-606-6292

 

대전효문화진흥원

효행장려법에 근거하여 설립된 전국 유일의 효문화 전시체험, 교육, 연구기관이다. 현대사회 들어 다소 위축된 효의 새로운 가치 정립을 위해 학생 등 국민들에 대한 효문화 진흥 활동을 하고 있다.

 

위치 : 대전광역시 중구 뿌리공원로 45

전화 : 042-580-9000

 

한국족보박물관

조선시대 족보를 중심으로 족보의 체계와 역사, 왕실족보, 특수한 족보 등을 상설 전시하고 있다. 족보 수록 산도, 분파도 등 족보 관련 특별전이 매년 개최되고 있으며, 어린이박물관학교, 족보대학 등 족보 관련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위치 : 대전광역시 중고 뿌리공원로 79

전화 : 042-582-4445

 

단재 신채호선생 생가지

대전광역시 기념물 제26호로, 독립운동가이며 역사학자이고 언론인이었던 단재 신채호 선생이 태어나 8세까지 살았던 곳이다.

 

위치 : 대전광역시 중구 단재로 229번길 47

전화 : 042-606-2692

 

도산서원

조선 광해군때 예조좌랑을 지낸 만회 권득기와 현종때 한성부우윤을 지낸 탄옹 권시 부자를 추모하기 위하여 1693년 세워진 서원으로 1711년 사액되었다. 대원군의 사원 철폐령(1688)으로 헐렸다가 1968년, 1973년 2차에 걸쳐 안동권씨 문중에서 복원하였다.

 

위치 : 대전광역시 서구 남선로 8

전화 : 042-486-7771

 

문충사

일제에 항거한 유학자이며 순국선열인 송병선, 송병순 형제의 위폐와 영정을 봉안하기 위하여 건립된 사당이다. 처음 1908년 충북 영동에 세워졌으나 송병선 선생 순국 60년 기념사업으로 1966년 선생의 탄생지이자 순국지인 현 위치로 옮겨졌다. 

 

위치 : 대전광역시 동구 동부로 73번길 44

전화 : 042-251-4025

 

봉소루

조선 인조 때 자예원 판결사를 지낸 남분봉(1607~1674)이 학문을 가르치던 서재이다. 남분봉은 조광조의 학통을 이어받은 인물이다. 본래 봉소재라 불렸으며 '봉소'란 새들의 보금자리라는 뜻으로 후진을 양성하는 교육 도장임을 가리킨다.

 

위치 : 대전광역시 중구 봉소루로 29

전화 : 042-606-6292

 

수운교 도솔천 천단

수운교의 상징적인 건물로 1929년에 지어진 목조건물이다. 수운교는 동학을 일으킨 수운 최제우를 교조로 하여 하느님을 숭배하는 종교이다.

 

위치 : 대전광역시 유성구 자운로 245번길 80

전화 : 042-861-0409

 

숭현서원

숭현서원은 조선시대 문신인 정굉필, 김정, 송인수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신 사액서원이다.

 

위치 : 대전광역시 유성구 엑스포로251번길 36

전화 : 042-861-0409

 

창계숭절사

숭절사는 1923년에 세운 사당으로 박팽년(1417~1456)과 박심문(1408~1456)을 모신 곳으로 물 맑은 시재(유등천)에 세워진 사당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위치 : 대전광역시 중구 대둔산로137번길 67

전화 : 042-606-6292

 

진잠향교 대성전

1405년 창건되어 공자를 비롯한 옛 성현의 위패를 모셔 놓고 제례를 올렸으며, 명륜당(강당)에는 교육을 실시하였다.

 

위치 : 대전광역시 유성구 교촌로 67

전화 : 042-543-1811

 

일상생활 속의 프라이버시 관리 : 개인 신용정보 조회서 요청 사실 통지 서비스

 

개인 신용정보 조회서 요청 사실 통지 서비스

개인 신용정보 조회사실 통지 요청은 신용정보법에 의거 정보 주체가 나이스지키미에 신청할 수 있다. 보이스피싱, 스미싱 등으로 본인정보 유출 피해에 대하여 수사기관에 신고하였다면, 해당

defaulter.tistory.com

 

회덕향교 대성전

조선 초기에 건립된 회덕 지방의 교육기관이다. 이곳에는 공자를 비롯한 옛 성현들의 위패를 봉인하고 있는 대성전과 교육을 담당하던 명륜당(강당)이 있다.

 

위치 : 대전광역시 대댁구 대전호1397번안길 126

전화 : 042-625-5565

 

한밭교육박물관

대전광역시 동구 삼성동에 자리 잡고 있다. 이곳에는 6천여 점의 교육자료가 전시되어 교육의 변천사를 한눈에 볼 수 있다.

 

위치 : 대전광역시 동구 우암로 96

전화 : 670-2210,2212

 

대전시립박물관

대전의 역사와 문화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으며, 선사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대전의 다양한 역사를 알기 쉽게 공개하고 있다.

 

위치 : 대전광역시 유성구 도안대로 389

전화 : 042-270-8600

 

대전선사박물관

노은동 유적지(기념물 제38호) 안에 위치한 대전선사박물관은 대전광역시의 첫 시립박물관이며, 선사시대 전문박물관이다. 야외 체험장과 체험, 자료실을 갖추고 있다.

 

위치 : 대전광역시 유성구 노은동로 126

전화 : 042-270-8640

 

 

같이 참고해볼 포스팅 : 대전시 생태관광(3) : 자연과 인간의 조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