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광역시는 전통에서 근대로 이행 현재는 대한민국의 신중심도시가 되고 있다. 구한말에서 근대도시 대전 탄생을 거쳐 현대에 이르는 도시화의 길을 걸었다. 전국 네트워크의 중심 도시가 되고, 과학과 연구의 도시 대전시는 세계를 향한 미래 첨단 도시로 나아가고 있다.
대전근현대사전시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근대문화유산인 옛 충남도청사 본관(등록문화재 제18호)에 자리한 '대전근현대사전시관'은 대전시립박물관의 분관으로 20세기 초부터 최근까지 약 100년에 이르는 대전의 역사와 발전상을 전시하고 있다.
또한 역사는 물론 도시, 건축, 디자인, 대중문화사 등 여러 분야의 특별기획전을 열고 있으며, 예 충남도청사 건물을 활용한 다양한 문화행사를 개최하는 대전시민을 위한 열린 문화공간이다.
위치 : 대전광역시 중구 중앙로 101(옛 충남도청사 본관 1층)
개관시간 : 동절기(11월~2월) 10:00-18:00, 하절기(9월~10월) 10:00-19:00
정기 휴관일 : 매주 월요일, 1월1일, 설날/추석 당일, 월요일이 공휴일인 경우 박물관 개관후 다음날 휴관
관람료 : 무료, 전화 : 042-270-4536
대전, 전통에서 근대로 이행
근대도시 대전의 탄생은 철도와 함께 했다. 경부선 철도부설과 함께 이곳에 정착한 일본인 이주자들에 의해 대전은 도시의 모습을 갖추기 시작했고, 1905년의 경부선 철도 개통과 1914년 호남선 철도 개통이 이어지면서 일약 내륙 철도교통의 중심지로 부상했다.
1914년 '대전군'이 신설되었고 1917년 대전면이 '지정면(指定面)'이 되면서 신흥도시로서의 면모를 갖춰가기 시작했으며, 이후 대전은 1931년 대전읍을 거쳐 1935년 지금의 광역시에 해당하는 대전부로 승격하면서 식민지 조선의 대표적인 근대도시로 자리매김했다.
함께 보면 참고가 되는 포스팅 : 대전시립박물관 특별 전시회 '한국전쟁과 대전'
구한말 대전의 구국운동
구한말 대전에서는 다양한 구국운동이 전개되었다. 최초의 을미의병으로 평가받는 유성의병과 위정척사론의 선두에 섰던 연재 송병선과 그를 따르는 연재학파 등 대전은 위정척사운동의 중심지였다.
유성의병과 애국계몽운동, 지역유림들의 위정척사론 등 당시 대전에서 일어났던 구국운동의 자세한 내용과 관련된 자료를 소개하고 있다. 특히 지역 최초의 사립학교인 대아학교와 대구와 함께 가장 활발한 모금운동을 벌인 대전의 국채보상운동 자료를 볼 수 있다.
근대도시 대전의 탄생과 성장
20세기 초, 작은 한촌에 불과했던 대전은 철도부설과 함께 근대도시로 성장한다. 식민통치 이전부터 이주해온 일본인에 의해 시가지가 개발되고, 각종 도시 기반 시설들이 만들어졌다. 이 과정에서 소제동 같은 전통마을들이 파괴되기도 하였다.
1932년 충남도청이 공주에서 대전으로 이전되면서 한층 도시의 모습을 갖춘 대전은 1935년 지금의 광역시에 해당하는 대전부로 승격했다. 이를 전후로 인구가 급증했으며, 은행과 경찰서, 병원 등 주요 관공서가 신설되거나 대전으로 이주했다. 시가지 또한 한층 번화해져서 지금의 대전 중앙로가 본격 개발되었다.
대전의 독립운동과 사회운동
식민지의 모순이 심화되는 1920년대 전부터 대전에서는 치열한 독립운동이 전개되었다. 그리고 1930년대에 이르러 노동운동 또한 폭발하기 시작했다. 전국적인 관심을 모았던 '군시제사 대전공장' 파업은 당시 대전의 지역사회와 그 변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건이었다.
또한 주로 장기형을 선고받은 정치범을 수용했던 대전형무소는 식민지의 현실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공간이었다. 전시관에는 대전형무소에 수감되었던 많은 애국지사와 대전 출신의 독립운동가를 알 수 있는 자료가 전시되어 있다. 특히 도산 안창호 선생이 대전형무소에서 아내에게 쓴 편지도 볼 수 있다.
대전, 근대를 걷다
1930~40년대 근대도시 대전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각 부문의 모습들을 보여준다. 모던 대전의 활력과 경쾌함을 노래한 대전의 노래들과 극장, 호텔, 온천 등 대중문화와 레저, 그리고 학교와 공장, 신문 등 당시 대전이라는 공간이 어떤 모습으로 실제 했는지를 보여주는 공간이다.
또한 대전 근대 100년을 보여주는 다큐멘터리 영상과 각 시기별 지도를 통해 대전의 지형과 시가가 어떤 변천을 겪었는지 체험할 수 있는 코너도 있다.
함께 보면 도움이 되는 포스팅 : 대전여행, 언택트 관광명소 시티투어버스.
대전여행, 언택트 관광명소 시티투어버스
대전여행 힐링하는 시간을 갖는다. 언택트 보고 느끼는 관광명소를 찾아간다. 봄 여름 가을 겨울 사계절의 여행지 대전광역시 버스투어로 둘러본다. 여행과 힐링의 조합 조용한 사색과 편안한
websiteseo.tistory.com
한국전쟁과 대전
6.25 한국전쟁 임시수도가 된 대전과 이 시기 가장 치열했던 전투 중 하나인 대전전투에 관한 자료를 전시하고, 대전형무소 민간인 살해 등의 비극을 소개하고 있다. 특히 대전형무소와 산내 골령골 사건은 남북한, 우익과 좌익 모두에 의해 벌어진 비극적인 일로 지금까지도 논쟁이 되고 있는 역사적 사건이었다.
대전, 폐허에서 일어나다
6.25 한국전쟁으로 폐허가 되었던 대전의 재건을 보여주는 사진들과 1960년 4.19 혁명의 도화선이 된 대전의 3.8 민주의거와 관련된 전시이다. 1960년대 경제성장의 기반을 마련하고, 동시에 민주사회 건설을 위해 노력한 대전시민들의 모습을 볼 수 있다.
대한민국의 신중심도시 대전
오늘날의 대한민국의 신중심도시로 성장한 대전의 모습, 특히 1980년대 이후의 주요 도시 사업과 1993년 대전엑스포와 같은 중요 행사를 되새겨본다.
같이 보면 참고가 되는 포스팅 : 대전 여행, 대전 볼거리 과학관광의 명소를 찾아서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고장 뜻 및 작성 형식 (0) | 2021.05.23 |
---|---|
대전시 등록문화재 옛 충남도청사 건축 개요 (0) | 2021.05.22 |
대전시립박물관 특별 전시회 '한국전쟁과 대전' (0) | 2021.05.22 |
대전시 생태관광(3) : 자연과 인간의 조화 (0) | 2021.05.22 |
대전시 문화관광(2) : 놀이와 볼거리가 함께한다 (0) | 2021.05.22 |
댓글